레버리지/인버스 ETF가 왜 “이론상 2배”처럼 길게는 안 움직이는지, 핵심 개념인 일일 추종(일일 리셋)과 복리 괴리를 표와 예시로 쉽게 정리합니다.
1) 일일 추종(일일 리셋) 구조란?
- 레버리지/인버스 ETF는 하루 수익률을 목표로 합니다. (예: 2배 ETF는 “지수의 하루 수익률 × 2”)
- 다음 날이 되면 기초(기준가)가 어제로 리셋되어 다시 “그날의 2배(또는 -1배/-2배)”를 추종합니다.
- 이렇게 매일 복리가 누적되며, 장이 오락가락하면 누적 결과가 단순히 ‘2배’와 달라지는 괴리가 발생합니다.
2) 숫자로 보는 복리 괴리 (3가지 시나리오)
표 설명: 지수의 누적수익률, “단순 2배 기대치(지수 누적×2)”, 그리고 실제 2배 ETF(일일 리셋) 누적을 비교합니다.
| 시나리오 | 지수 일일 변화 | 지수 누적 | ‘단순 2배’ 기대 | 실제 2배 ETF(일일 리셋) | 포인트 |
|---|---|---|---|---|---|
| 상승 추세 (3일) | +2%, +2%, +2% | +6.12% (1.02³=1.0612) |
+12.24% | +12.49% (1.04³=1.1249) |
추세가 매끈히 이어지면 2배보다 조금 더 유리해질 수 있음 |
| 하락 추세 (3일) | -2%, -2%, -2% | -5.88% (0.98³=0.9412) |
-11.76% | -11.53% (0.96³=0.8847) |
연속 하락에서도 단순 2배와 미세한 차이가 발생 |
| 등락 반복 (2일, 지수는 본전) | +10%, -9.09% | 0.00% (1.1×0.909=1.000) |
0.00% | -1.82% (1.2×0.818=0.9818) |
변동성 드래그: 지수는 본전인데 2배 ETF는 손실 |
※ 핵심: 일간 목표를 매일 재설정하기 때문에, 변동이 클수록 누적 결과는 “단순 2배”와 달라집니다. 이를 복리 괴리(=변동성 드래그)라고 부릅니다.
3) 인버스/레버리지 인버스에도 동일하게 적용
- 인버스(-1배), 레버리지 인버스(-2배)도 모두 일일 리셋 구조입니다.
- 장세가 등락을 반복하면, 지수의 장기 누적과 정확히 -1배/-2배가 되지 않습니다.
4) 장기 보유가 불리해지는 이유 (요약)
- 변동성 드래그: 등락 반복 구간에서 누적 손실이 쌓일 수 있음
- 총보수/거래비용: 레버리지/인버스는 보수가 높고 회전율↑ → 장기 보유시 비용 누적
- 추적오차·괴리율: 실제 운용 과정에서 지수 대비 오차가 누적될 수 있음
5) 단타 관점 운용 원칙 (체크리스트)
- 오버나잇 금지: 일일 추종 상품은 하루 단위 매매 원칙을 지키는 편이 안전
- 손절/익절 기계화: 예) 손절 -1~2%, 익절 +2~3%, 분할진입·분할청산
- 거래량·호가스프레드 확인: 유동성 좋은 종목(예: KODEX 레버리지/인버스) 사용
- 뉴스·이벤트 전후 규칙: CPI/FOMC·만기일 등 초변동 구간은 포지션 축소
6) 한 줄 결론
레버리지/인버스 ETF는 “하루 수익률”을 추종합니다.
등락이 거친 장세일수록 복리 괴리가 커지므로, 장기 보유보다는 단타 운용이 구조에 부합합니다.
아래의 다른 콘텐츠도 확인해보세요:
👉 ETF(상장지수펀드)의 기본개념과 특징 쉽게 이해하기
👉 ETF의 배당 구조, 일반 ETF와 고배당 ETF의 차이 쉽게 이해하기
👉 ETF 배당률이 200% 이상 높은 수익률이 가능한 이유 이해하기
👉 레버리지 ETF와 인버스ETF 쉽게 이해하기와 단기 투자 활용법과 주의사항
👉 단기 투자용으로 코스피·코스닥 레버리지/인버스 ETF 매매특징과 활용팁 안내
👉 상승장 단기 매매에 유리한 레버리지 ETF 정리와 KODEX 레버리지, KODEX 코스닥150 레버리지 특징 이해하기
👉 코스피 레버리지와 코스닥 레버리지 ETF의 차이와 손실 위험 비교
👉 코스피 레버리지와 코스닥 레버리지 ETF를 단타 투자 관점에서 비교
👉 대량보유상황보고(5%룰 공시) 국민연금 등 대형 투자자의 지분 변동 공시 확인하는 방법
👉 대량보유상황보고(5%룰 공시) 외국계펀드 등 대형 투자자의 지분 변동 공시 확인하는 방법
👉 국민연금과 외국계 펀드 1% 지분 변동 공시 확인법
👉 국민연금·외국계 펀드에서 보유한 전체 주식 종목 확인하는 방법
👉 국민연금·외국계펀드 공식 공시자료를 기반으로 최신 상위 종목 정리
👉 국민연금, 외국계펀드 공식자료 1% 지분 공시, 단타로 활용해도될까?
👉 국민연금, 외국계펀드 공식 공시자료로 단타 매매에 대한 투자자 입장에서 활용법을 정리
👉 국민연금, 외국계펀드 공식 공시자료 1% 지분 변동, 단타 체크리스트
👉 국민연금 또는 외국계 펀드의 1% 이상 지분 변동 공시로 JYP·풍산 지분 변동 단타 참고
👉 국민연금, 외국계펀드 지분변화 공시에 따른아이온큐 지분 변동, 단타 활용법
👉 단타 5% vs 장기 50%, 뭐가 더 유리할까?에 대한 질문에 대한 정리

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