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민연금과 외국계 펀드의 ‘전체 보유 현황’까지 알고 싶으신 분들을 위해 핵심만 정리해 드릴게요.
어디서, 무엇을, 어떻게 찾을 수 있는지 지금부터 하나씩 설명해 드립니다.
1. 국민연금 전체 보유 현황 보는 법
국민연금은 국내 상장사 주식을 대량 보유하고 있으며, 보유 종목 리스트를 '공식 경로'로 제공합니다.
공시 외에도 분기 단위로 전체 종목의 보유 비중과 평가금액까지 공개됩니다.
-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 홈페이지 → “주식운용 > 보유종목 현황” 메뉴
- 공개 주기: 분기별 (국내/해외 주식 모두 포함)
- 내용 구성: 종목명, 보유 비중(%), 평가금액(억 원)
주의: DART에서는 5% 이상 보유 종목만 공시되며, 전체 리스트는 나오지 않습니다.
2. 외국계 펀드 전체 보유 현황 확인법
블랙록, 뱅가드, GIC, 노르웨이 국부펀드 등 외국계 펀드는 한국 시장에서도 활발히 활동하지만,
국내에서는 '5% 이상 보유' 종목에 대해서만 공시 의무가 있습니다.
- DART 전자공시시스템: 펀드 이름 검색 → 5% 이상 보유 종목 공시 확인
- 펀드 본사 홈페이지: "Holdings" 또는 "Portfolio" 메뉴에서 전체 글로벌 포트폴리오 열람
- 미국 SEC: 13F 보고서에 분기 기준 보유 종목 전체 공개 (단, 미국 기준이며 일부 한국 ADR만 포함)
TIP: 한국 종목만 따로 보고 싶다면 DART 공시가 가장 직관적입니다.
3. 요약 테이블
| 구분 | 전체 보유 현황 | 5% 이상 공시 |
|---|---|---|
| 국민연금 | 기금운용본부 홈페이지 (국내·해외 분기 자료) | DART, KIND |
| 외국계 펀드 | 운용사 공식 홈페이지, 미국 SEC 13F 보고서 | DART (펀드명 검색) |
결론 및 행동 촉구
국민연금과 외국계 펀드의 전체 보유 현황을 파악하면 투자 트렌드와 전략적 방향을 읽을 수 있습니다.
단순 공시를 넘어서 분기별 포트폴리오까지 확인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.
지금 바로 국민연금 홈페이지와 DART, SEC 사이트에서 글로벌 자금의 흐름을 확인해 보세요.
Q&A
Q1. 국민연금이 전체 보유한 종목은 어디서 보나요?
A.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 홈페이지 > 주식운용 > 보유종목 현황 메뉴에서 확인 가능합니다.
Q2. DART에서는 국민연금 전체 종목을 알 수 있나요?
A. 아니요. DART에는 5% 이상 보유 종목만 공시됩니다.
Q3. 외국계 펀드의 전체 종목 보유 현황도 확인 가능한가요?
A. 네. 각 펀드사 홈페이지나 미국 SEC 13F 보고서에서 확인할 수 있지만, 글로벌 기준이므로 한국 종목만 따로 보긴 어렵습니다.
Q4. KIND에서는 어떤 정보를 볼 수 있나요?
A. 종목 중심으로 국민연금, 외국계 펀드 등 모든 기관의 대량보유공시(5% 이상)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Q5. 13F 보고서에 나오는 한국 주식은 어떤 건가요?
A. 미국에 상장된 한국기업 ADR 또는 외국계 펀드가 보유한 글로벌 상장 주식 일부가 포함됩니다.

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