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번에는 레버리지(Leverage) ETF와 인버스(Inverse) ETF를 쉽게 설명드릴게요.
📌 1. 레버리지 ETF
- 의미: 지수의 수익률을 2배, 3배로 따라가도록 설계된 ETF.
- 예시:
KODEX 레버리지
(코스피200 2배 추종) - 코스피200이 하루에 +1% 오르면 → ETF는 +2% 상승
- 반대로 코스피200이 하루에 -1% 떨어지면 → ETF는 -2% 하락
- 활용: 단기 투자용. 하루 단위 움직임에 맞춰 설계됨.
장기 보유 시 복리효과로 지수와 차이가 커져 위험할 수 있음.
📌 2. 인버스 ETF
- 의미: 지수가 떨어질 때 반대로 오르도록 설계된 ETF.
- 예시:
KODEX 인버스
(코스피200 -1배 추종) - 코스피200이 하루에 -1% 하락 → ETF는 +1% 상승
- 코스피200이 하루에 +1% 상승 → ETF는 -1% 하락
- 활용: 하락장에서 수익을 노릴 때 사용.
개인 투자자들이 "공매도 대체 수단"으로 많이 활용.
📌 3. 레버리지 인버스 ETF
- 개념: 위 두 가지 개념을 합쳐, 지수의 하락을 2배, 3배로 추종.
- 예시:
KODEX 200선물인버스2X
- 코스피200이 하루에 -1% 하락 → ETF는 +2% 상승
- 코스피200이 하루에 +1% 상승 → ETF는 -2% 하락
- 활용: 급락장에 단기 베팅할 때 주로 사용.
하지만 변동성이 크고 장기 보유 시 손실 위험이 큼.
📌 정리
- 레버리지 ETF → 지수 상승률(하락률)을 배수로 확대
- 인버스 ETF → 지수와 반대로 움직임
- 레버리지 인버스 ETF → 지수 하락을 배수로 추종
👉 쉽게 말해,
- 상승장에서는 레버리지 ETF
- 하락장에서는 인버스/레버리지 인버스 ETF
를 단기 매매용으로 활용하는 거예요.
아래의 다른 콘텐츠도 확인해보세요:
👉 ETF(상장지수펀드)의 기본개념과 특징 쉽게 이해하기
👉 ETF의 배당 구조, 일반 ETF와 고배당 ETF의 차이 쉽게 이해하기
👉 ETF 배당률이 200% 이상 높은 수익률이 가능한 이유 이해하기
👉 레버리지 ETF와 인버스ETF 쉽게 이해하기와 단기 투자 활용법과 주의사항
👉 단기 투자용으로 코스피·코스닥 레버리지/인버스 ETF 매매특징과 활용팁 안내
👉 상승장 단기 매매에 유리한 레버리지 ETF 정리와 KODEX 레버리지, KODEX 코스닥150 레버리지 특징 이해하기
👉 코스피 레버리지와 코스닥 레버리지 ETF의 차이와 손실 위험 비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