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번에는 레버리지(Leverage) ETF인버스(Inverse) ETF를 쉽게 설명드릴게요.


📌 1. 레버리지 ETF

  • 의미: 지수의 수익률을 2배, 3배로 따라가도록 설계된 ETF.
  • 예시: KODEX 레버리지 (코스피200 2배 추종)
    • 코스피200이 하루에 +1% 오르면 → ETF는 +2% 상승
    • 반대로 코스피200이 하루에 -1% 떨어지면 → ETF는 -2% 하락
  • 활용: 단기 투자용. 하루 단위 움직임에 맞춰 설계됨.
    장기 보유 시 복리효과로 지수와 차이가 커져 위험할 수 있음.

📌 2. 인버스 ETF

  • 의미: 지수가 떨어질 때 반대로 오르도록 설계된 ETF.
  • 예시: KODEX 인버스 (코스피200 -1배 추종)
    • 코스피200이 하루에 -1% 하락 → ETF는 +1% 상승
    • 코스피200이 하루에 +1% 상승 → ETF는 -1% 하락
  • 활용: 하락장에서 수익을 노릴 때 사용.
    개인 투자자들이 "공매도 대체 수단"으로 많이 활용.

📌 3. 레버리지 인버스 ETF

  • 개념: 위 두 가지 개념을 합쳐, 지수의 하락을 2배, 3배로 추종.
  • 예시: KODEX 200선물인버스2X
    • 코스피200이 하루에 -1% 하락 → ETF는 +2% 상승
    • 코스피200이 하루에 +1% 상승 → ETF는 -2% 하락
  • 활용: 급락장에 단기 베팅할 때 주로 사용.
    하지만 변동성이 크고 장기 보유 시 손실 위험이 큼.

📌 정리

  • 레버리지 ETF → 지수 상승률(하락률)을 배수로 확대
  • 인버스 ETF → 지수와 반대로 움직임
  • 레버리지 인버스 ETF → 지수 하락을 배수로 추종

👉 쉽게 말해,

  • 상승장에서는 레버리지 ETF
  • 하락장에서는 인버스/레버리지 인버스 ETF

를 단기 매매용으로 활용하는 거예요.